2022년 7월 12일 화요일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의 본격적인 시행에 앞서 6월 29일부터 정부24 앱을 이용해서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를 시범 운영합니다. 이제 공항이나 여객터미널, 편의점 등에서 실물 주민등록증이 없어도 스마트폰을 이용해 신분확인이 가능해집니다. 그럼 안드로이드 기반 삼성 갤럭시, 아이오에스(IOS) 기반의 아이폰 등 스마트폰으로 주민등록증을 대신하는 정부24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의 등록(가입), 발급, 이용방법, 진위 확인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란 무엇인가?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는 실물 주민등록증 없이도 주민등록증에 수록된 성명, 사진, 주민등록번호, 주소, 발행일, 주민등록기관 정보를 무늬(QR)와 함께 스마트폰 화면에 표출해주고 이의 진위를 확인하여 신분확인도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2022년 1월 11일 공포된 개정 주민등록법에 따라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효력을 가집니다. 7월 12일 화요일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의 본격적인 시행에 앞서 불편 사항을 점검하여 개선하고 서비스의 안정화를 위해 6월 29일부터 시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이용 가능합니다.
- 민원서류를 접수할 때 또는 자격을 인정하는 증서를 발급할 경우
- 편의점, 식당 등 일상생활에서 성인 여부를 확인받을 때 (멤버십 등 민간서비스 영역 포함)
- 공항, 여객터미널에서 탑승자 신분확인이 필요할 때
- 사인 간 계약이나 거래 시에 본인여부를 확인
* 정부24 아이오에스(IOS) 앱의 경우 7월 말 서비스 오픈 예정이며 하반기에는 통신 3사(SKT, KT, LG U+)의 패스(PASS) 인증 앱 등 민간 플랫폼에서도 주민등록증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연계, 확대하여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주민등록증 모바일 서비스 이용방법
1) 서비스 등록(가입) 방법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 등록(가입)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절차 : 정부24 앱 회원가입 후 로그인 →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메뉴 실행 → 이용약관 및 정보이용 동의 → 이동통신사 PASS 인증 → 본인 주민등록증 필수 정보 입력 → 비밀번호 및 생체인증 등록 →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등록 완료
-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으로 서비스 등록(가입)을 해야 합니다.
- 정부24 앱에 로그인한 후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메뉴에서 통신사 패스(PASS) 인증과 기본정보 입력 등 간단한 절차를 거친 후 서비스 등록을 완료합니다.
- 기본정보 입력 시 주민등록증 발급일자를 확인하므로 실물 주민등록증을 미리 준비해야 하고 패스(PASS)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쉽고 빠르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등록 시 지문 또는 얼굴 등 생체인증 정보를 추가로 등록할 수 있으며 신분확인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주민등록이 말소되었거나 주민등록증 분실 등 실물 주민등록증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 1인 기준 1대의 기기만 인증 가능합니다. (1인 1단말 인증)
2) 주민등록증 확인 방법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에서 주민등록증을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절차 : 정부24 앱 →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메뉴 실행 → 기본화면에서 상세정보 표시 선택 → 서비스 신청 시 등록한 6자리 비밀번호 또는 생체인증으로 본인 확인 → 주민등록증 수록사항 상세정보 확인
-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는 편리한 신분확인 방안 마련뿐 아니라 철저한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기본 화면에는 성명과 주소의 일부, 생년월일, 신분확인 정보 무늬(QR)만 표시하여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였습니다.
- 주민등록번호와 정확한 주소는 지문 또는 얼굴 등 생체인증 후 상세정보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도용 및 대여, 위·변조 방지를 위해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 1대에서만 이용할 수 있고, 화면 캡쳐 차단 및 일정 시간이 지날 시 정보 무늬(QR)를 초기화하는 기능을 갖추어 부정 사용에 따른 위험을 낮췄습니다.
3)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방법
신분확인 및 본인여부 확인 등을 위한 주민등록증의 진위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절차 : 정부24 앱 로그인 → 메뉴 → 서비스 신청/확인/공유 → 사실/진위 확인 → 주민등록증 QR 진위 확인 → 카메라 구동 → 타인의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기본화면의 QR코드 촬영 → 수록사항 진위 확인
- 스마트폰에 표출된 주민등록증 정보는 정부24 앱의 “사실/진위 확인” 메뉴에서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의 정보 무늬(QR)을 촬영하거나 검증 에이피아이(API)를 이용하여 각 사업장 운영시스템을 통해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현재 편의점 3사(CU, GS, 세븐일레븐)는 계산대(POS: Point-of-sales) 시스템에서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검증 에이피아이(API)를 활용한 기술개발을 완료하였으며 정보 무늬(QR)를 스캔하여 성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증 에이피아이(API) 이용을 희망하는 국가기관, 사회단체, 기업체 등은 이용 신청서 제출
주민등록증 모바일 서비스 이용처 및 이용 문의
1) 서비스 등록(가입) 등 앱 사용 문의
이용 방법 | 관련기관(부서) | 담당자 연락처 |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등록 및 QR 진위확인 | 행정안전부 주민과 | 044-205-3162 |
콜센터 070-8892-4600 | ||
정부24 로그인 | 행정안전부 행정서비스통합추진단 | 정부24콜센터 1588-2188 |
PASS 인증 | SKT 고객센터 | 휴대폰 114 |
KT 고객센터 | 휴대폰 114 | |
LG U+ 고객센터 | 휴대폰 114 |
2) 서비스 이용 문의
서비스 이용처 | 이용 방법 | 관련기관(부서) | 담당자 연락처 |
공항 | 국내선 비행기 탑승수속시 정부24 앱을 실행하여 "주민등록증 확인 서비스" 제시 | 국토교통부 항공보안과 | 044-201-4237 |
한국공항공사 고객센터 | 1661-2626 | ||
여객터미널 | 선박 탑승권 구매 및 승선시 정부 24 앱을 실행하여 ‘주민등록증 확 인서비스’ 제시 | 해양수산부 연안해운과 | 044-200-5733 |
행정안전부 안전제도과 | 044-205-4149 | ||
CU편의점 | 주류 및 담배 구매시 정부24 앱 을 실행하여 ‘주민등록증 확인서 비스’ 제시하면 점주가 QR스캔하 여 성인여부 확인 | BGF리테일 고객센터 | 1577-8007 |
GS편의점 | 주류 및 담배 구매시 정부24 앱 을 실행하여 ‘주민등록증 확인서 비스’ 제시하면 점주가 QR스캔하 여 성인여부 확인 | GS리테일 고객센터 | 1644-5425 |
세븐일레븐 편의점 | 주류 및 담배 구매시 정부24 앱 을 실행하여 ‘주민등록증 확인서 비스’ 제시하면 점주가 QR스캔하 여 성인여부 확인 | 세븐일레븐 고객센터 | 1577-0711 |
개인 간 거래 등 | 정부24 앱을 실행하여 ‘주민등록 증 확인서비스’ 제시하면 상대방 이 정부24 앱을 실행하여 ‘주민등 록증 QR진위확인’에서 QR촬영 | 행정안전부 주민과 (QR진위확인 관련) |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콜센터 070-8892-4600 |
행정서비스통합 추진단 (정부24앱 관련) |
정부24 콜센터 1588-2188 |
* 참고자료 : 행정안전부 누리집
행정안전부 대표 홈페이지
www.mois.go.kr
'복지 정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7월 28일부터 마약, 약물, 음주, 무면허, 뺑소니 사고 발생 시 운전자 사고부담금 한도가 상향됩니다. (0) | 2022.07.26 |
---|---|
보행자 우선 도로 본격 시행 (대구 대전 부산 지정 현황, 지침서(매뉴얼), 가이드라인) (0) | 2022.07.19 |
횡단보도 우회전 단속 기준, 우회전 방법,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 등 교차로 우회전 통행방법 (0) | 2022.06.20 |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확인 지급 대상, 서류, 절차, 기간, 신청 누리집 (0) | 2022.06.13 |
특고 프리랜서 6차 재난지원금 신청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지원 대상, 신청 기간, 신청 방법, 중복 수급) (0) | 2022.06.08 |
댓글